본문 바로가기
심리학/심리학 용어

[심리학용어1] 갈라파고스 증후군 vs 디드로 효과 : 개념과 사례 분석

by Dongiveup 2024. 3. 19.
반응형

갈라파고스-증후군

◆ 갈라파고스 증후군(Galapagos syndrome)

특정 기술이나 제품이 그 나라에서만 독자적으로 발전하고 다른 나라와는 다른 방향으로 진화하는 것

 

일본에서 주로 사용되는 용어로, 특정 산업이나 기술이 해당 국가에서만 독자적으로 발전하여 세계 다른 나라와 동떨어진 경향을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1. 갈라파고스 증후군의 유례

육지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 독자적으로 진화한 종들이 서식하는 고유한 생태계가 형성되었다.

 

갈라파고스는 제도는 남아메리카 대륙에서 약 1,000킬로미터나 떨어진 한 무리의 섬이다.

 

이 용어는 갈라파고스 제도에서 진화한 동물들이 그 섬의 고유한 환경에 적응한 것에서 유래했습니다.

 

하지만 육지와의 빈번한 교류로 외부종이 유입되자 면역력 약한 고유종들이 멸종되거나 멸종의 위기를 맞은 갈라파고스제도의 상황에 빗대어 이 용어가 만들어졌다.

 

찰스 다원은 대륙과 격리된 이 섬에서 고유종을 발견했는데, 이는 다른 대륙의 생물과는 무관하게 스스로 진화한 특이한 종을 말한다.

 

2. 갈라파고스 증후군 현상

일본은 소니, 파나소닉 등의 기업을 주축으로 IT분야에서 독보적인 발전을 이루어 왔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부터 다른 외국 기업에 정산의 자리를 내주었다.

 

분석 결과, 세계적인 표준을 무시하고 내수 시장만을 위한 제품을 생산한 것이 그 원인이었다.

 

게이오 대학 교수이자 휴대전화 인터넷망의 개발자인 나스노다케시 교수의 2007년 <일본 무선 전화 시장 보고서>에서 이러한 현상을 갈라파고스 증후군이라고 명명했다.

 

3. 갈라파고스 증후군 사례

일본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기 때문에 ‘일본(Japan)’과 ‘갈라파고스(Galapagos)’를 합쳐 ‘잴라파고스(Jalapagos)’라고도 합니다.

 

일본의 모바일 전화나 인터넷 서비스가 갈라파고스 현상의 대표적인 사례로 언급됩니다.

 

이들 기술이 일본 내에서는 매우 발전하지만, 해외 시장에서는 그다지 사용되지 않거나 인기가 없는 경우를 나타냅니다.

 

이로 인해 일본 기업들이 글로벌 경쟁에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도 합니다.

 

현재는 일본뿐 아니라 어떤 나라든 국제 표준을 무시하고 독자적으로 발전하는 경우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3. 인지부조화 현상과의 관계

세계 시장 개척을 위한 제품 생산에 주력하기보다는 일본 내수 시장에 초점을 둔 표준을 만들어 놓았다.

 

그 이후 정작 국제 경쟁력이 약화되자 일본 국내 IT 사용자 수만으로도 충분하다고 합리화했다는 점에서 인지 부조화 현상과도 관련이 있다.

 

인지 부조화란 두 가지의 생각, 혹은 생각과 행동 사이에 불일치가 생길 때 합리화 과정을 통해서 이 불편한 느낌을 줄이려고 하는 현상을 말한다.

 

◆  디드로 효과(Diderot effect)

하나의 물건을 구입한 후 그 물건과 어울리는 다른 제품들을 계속 구매하는 현상이다.

일부에서는 디드로 통일성이라고도 부른다

 

1. 디드로 효과의 부정적 측면

사람들은 구매한 물품들 사이의 기능적인 동질성보다는 정서적, 문화적인 측면에서의 동질성 혹은 통일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시각적으로 관찰이 가능한 제품일수록 이 효과가 더 커진다.

 

18세기 프랑스의 철학자 디드로의 에세이 [나의 옛 가운을 버린 것에 대한 후회]에서 처음 언급되었다.

 

디드로는 친구가 준 세련된 빨간 가운과 자신의 낡은 물건들이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그는 가운과 어울리도록 빨간색 계열로 의자, 책상 등을 사서 바꾸다가 마침내 모든 가구를 바꾸었다.

 

결국 돈을 낭비한 그는 자신이 빨간 가운의 노예가 되었다고 우울해했다.

 

미국 사회학자이자 경제학자인 줄리엣 쇼어 역시 1992년 자신의 베스트셀러 [과소비하는 미국인들 : 왜 우리는 우리에게 필요 없는 것을 원하나]에서 디드로 효과의 부정적인 측면을 지적한 바 있다.

 

2. 디드로 효과의 경제적 측면

 경제 분야에서는 이러한 디드로 효과를 마케팅에 적용하고 있다.

 

많은 기업은 디드로 효과를 이용한 '크로스 브랜딩'전략을 시도한다.

 

명품 회사는 고객에게 일단 자사의 명품 가방을 사도록 유인하다.

 

그 후 자사의 명품 가방을 구입한 고객은 가방과 어울리는 그 회사의 지갑도 사야겠다는 욕구를 갖게 된다.

 

결국 고객은 그 명품 회사의 제품을 지속적으로 구매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 밖에도 패밀리 룩이나 커플  룩 같은 토털 패션, 제품과 관련된 다양한 예술 상품을 만들어 파는 아트 컬래버레이션 등은 제품의 심미적 조화를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지속적으로 자극한다.

 

또한 다른 산업 분야의 아이템을 결합하는 '아이브리드 패치워크'도 디드로 효과를 이용한 마케팅이다.

 

웹툰의 캐릭터를 입힌 캔 커피, 엔터테인먼트와 의류 회사의 합작으로 탄생한 브랜드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