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심리학/심리학 용어13 [심리학용어4] 앵커링 효과의 정의와 유래, 원인 및 해결책 : 실생활 사례 포함 ◆ 앵커링 효과(Anchoring effect) 배가 닻(anchor)을 내리면 닻과 배를 연결한 밧줄의 범위 내에서만 움직일 수 있는 것처럼, 사람들이 의사결정을 할 때, 처음 접한 정보나 숫자가 기준점(앵커)이 되어 이후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편향을 의미.즉, 처음에 제공된 정보가 사람들의 사고나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며, 그 후의 정보나 선택이 그 기준점에 근접하거나 이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1. 앵커링 효과의 유래앵커링 효과는 1974년, 심리학자 대니얼 카너먼(Daniel Kahneman)과 아모스 트버스키(Amos Tversky)에 의해 처음으로 연구되었습니다. 이들은 사람들이 수치적 판단을 내릴 때, 초기에 제공된 정보가 결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했고, .. 2024. 3. 21. [심리학용어3] 스톡홀름 증후군 vs 리마 증후군 ◆ 스톡홀름 증후군(Stockholm syndrome)공포심으로 인해 극한 상황을 유발한 대상에게 긍정적인 감정을 가지는 현상이다.범죄심리학 용어로 인질이 인질범에게 감정적으로 동조하거나 애착을 느끼는 심리적 상태를 말합니다. 이 용어는 1973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발생한 은행 강도 사건에서 유래되었습니다.이 사건에서 인질들이 납치자에 대해 동정심을 느끼고 그들의 행동을 옹호하는 모습을 보였고, 이는 심리학적으로 흥미로운 현상으로 분석되었습니다. 1. 스톡홀름 증후군(Stockholm syndrome)의 유래1973년 8월 23일부터 28일까지 6일간 스웨덴의 수도 스톡홀름 노르말름스토리의 크레디트반켄에서 은행 강도 사건이 발생한다. 이 사건에서 강도는 은행을 습격하고 네 명의 직원을 인질로 잡고 경찰.. 2024. 3. 21. [심리학2] 리플리 증후군 : 개념과 실제사례 ◆ 리플리 증후군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의 정체성을 사칭하거나, 그들의 삶을 살려고 하는 심리적 경향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이 증후군은 특히 패트리샤 하이스미스의 소설 "재퍼리 리플리"에서 주인공이 타인의 정체성을 도용하고 그 삶을 대체하려고 하는 행동에서 유래되었습니다. 1. 리플리 증후군의 유래리플리 증후군(Ripley syndrome)은 패트리샤 하이스미스의 소설 "재퍼리 리플리"에서 비롯된 개념입니다.주인공인 리플리가 다른 사람의 정체성을 사칭하고 그들의 삶을 대신 살려는 행동을 통해 유명해졌습니다. 이 소설은 1955년에 출간되었으며, 리플리는 부유한 젊은이인 딕리에게 집착하여 그의 삶을 차지하려고 하는 인물입니다.리플리는 자신의 정체성에 불만족을 느끼고, 딕리의 삶이 더 매력적이라고 생각하여 .. 2024. 3. 19.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